shin26.jpg 

없는 사람, 2017, 단채널 영상, 8분 26초_스틸컷, 신정균
Mr. Bullet, 2017, single channel video, 00:08:26_still cut


하나의 길고 거짓말

 

_김상진

 

신정균은 분단국가인 대한민국 사회 속에 잠재하는 특정 불안들을 , 안보, 이념, 음모론 등의 소재를 통해 노출시켜왔다. 그는 작품 속에서 장르적 형식들을 적극적으로 차용하여 진실과 허구, 내용과 형식, 과거와 현재, 진지함과 유희의 위상차를 넘나드는 시뮬레이션을 구성한다. 그의 영상들은매체가 내용이다.(The medium is the message)’ 라는 마셜 맥루언의 격언을 충실히 따른다. 일상적이거나 하찮은 정보들은 국영방송, 첩보, 다큐멘터리, 고발프로그램, CG 등의 과장되고 경직된 형식을 통해 재구성되고 작가는 이를 통해 잠재된 불안을 증폭시킨다. 그리고 결국 이러한 구성의 총합은 일종의 모큐멘터리의 형식으로 귀결되게 된다.

 

모큐멘터리 속에서 우리는 아무것도 신뢰할 없다. 이상 어느 부분이 진실이고 어느 부분이 조작인지 확인할 없기 때문이다. 섞여 들어간 거짓들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공간, 제도와 같이 일상에서 의심받지 않던 조건들마저 진위를 의심받는다. 그러므로 안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하나의 자연스러운 극화 혹은 고발극처럼 이어지지만, 그것은 실제로 아무것도 증명하지 않고 아무것도 고발하지 않는다. 진실도 거짓도 증명되지 않음으로 갈등은 명쾌한 논리의 서사구조에 진입하지 못하며 따라서 해결되지 못한 부조리의 흔적들은 관객들에게 막연한 불안의 기시감으로 덩그러니 남겨져 있게 된다.

 

이전의 작업 <베고니아 부르기>(2016), <옥류체로 쓰여진 노래>(2013) 등에서 이미 보여주었듯이 작가는 형식이 내용을 어떻게 전도시키는가를 보여주는 데에 능숙하다. 그러한 반전의 장치들은 영상 속에서도 이야기의 레이어 구석구석 설치되어 있다. 그는 고발극이나 다큐멘터리 같은 형식을 사용해 일상의 현실을 과잉의식하게 만들고 다시 신뢰의 형식들을 모큐멘터리라는 형식 속에 넣어 희석시킨다. 그는 진지한 고발을 하기 위해 진지하지 않은 소재들을 진지한 형식에 대입하고 이를 다시 진지하지 않은 이야기의 틀에 담아 무엇에도 진지한 이야기만 해대는 미술계 내놓는다. 한데 복잡한 미로와 같은 반전들을 통해 그가 얻고자 하는 것은 이전 세대들이 투쟁을 해오던 그런 의로운 고발자영웅 자리가 아니다. 그는 오히려사건의 해결보다는판단의 유예 제시한다.

 

차용된 진지한 형식미들이 서사의 구조를 매듭지어 나가는 동안 정교하지 못한 CG 비롯한 B 레퍼런스가 주기적으로 등장하여 형식의 매체적 신뢰도를 의도적으로 손상시킨다. 그래서 그의 모큐멘터리는 끊임없이 관객들에게 몰입할 것을 요구하는 영화 블레어 위치¹ 방식보다는 비인기 케이블 채널의 한가한 시간대를 점령하곤 하는 저예산 모큐멘터리 혹은 유튜브를 떠도는 페이크 다큐멘터리를 닮아있다. 그러니까 이것은 최종적 반전의 장치일지도 모른다. 형식과 내용 간의 거듭된 반전은 결국 전통적 서사 구조를 혼란에 빠트리고 현실 자체를 허구와 비허구 사이의 음모론적 가능성으로 만들어버린다. 이상 아무것도 확신할 없고 모든 것은 사실 (아마 미술 자체마저도) 하나의 길고 거짓말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하면서 말이다.

 

그는 이번 전시 Re-wind》에서 하나의 시간(우리의 시간) 공존했던 이면의 시간(안보의 시간) 대하여 이야기한다. 분명 어떤 안보의 시간들은 체제의 시간과 공존할 있는 명분을 가지지 못한다. 마치 아날로그 테이프의 면이 재생되는 동안 다른 면의 시간이 침묵하듯이, 시간은 동시에 존재하지만 둘은 서로에게 모순적 전제로서 존재하므로 동시에 재생될 없다. 그리고 이것은 여전히 우리의 일상이라는 환영을 유지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전제조건이다. 작가가 이번 전시에서 다루고 있는 북파공작원이나 군에서 사고를 당한 청년 병사들은 사실 꽤나 익숙한 소재이면서도 우리의 시간으로 진지하게 들어온 적이 없는 어떤 희미한 이야기들로 남아왔다. 이는 그들이 아주 솜씨 좋게 은신해 왔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우리가 애써 그들을 체해왔기 때문일 것이다. 혹은 의식적이 아니었다 하더라도 그들은 같은 시간 속에서 다른 시간을 보냈으므로 우리는 그들을, 마치 투명 인간처럼, 애초에 알아볼 없었을지도 모른다.

 

작가는 같은 기억 위에 그려지지 못하는 지워진 시간을 재현하기 위해 증인들의 주변화된 증언들을 단서 혹은 알리바이로 삼아 잊혀진 시간을 다시 재구성한다. 그리고 B 미디어들이 만들어내는 출처를 없는 아리송한 이야기처럼 그의 시뮬레이션은 또다시 능숙하게 형식을 조합하고 형식 속에 안착한다. 영상 이야기가 끝나 때쯤이면 작가는 일상의 어느 언저리 즈음에 이면의 시간 어느 언저리 즈음을 막연히 얹어 그들이 다른 시간 어딘가에서 같은 시간을 공유했었음을 표시해놓는다. 마치 하나의 길고 거짓말처럼.

 

¹ 블레어 위치(The Blair Witch Project): 1999년에 제작된 다니엘 미릭과 에두아르도 산체스의 저예산 공포 모큐멘터리


 

One very long lie


Text by Sangjin Kim

 

Jungkyun Shin has been working around issues of the military, national security, ideologies and conspiracy theories to expose anxieties that are latent in the divided Korea. By appropriating stylistic features of different genres in media, Shin's simulations oscillate between the truth and fiction, a message and its form,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the serious and the playful. His videos truthfully follow Marshall McLuhan’s statement, “The medium is the message.” Mundane and trivial stories are retold in the styles of propaganda TV shows, documentaries, and reportages with exaggerated CGs and stiff formats; and by doing so, the artist amplifies the dormant anxieties. And the sum of these approaches tends to conclude in forms of Mockumentary.


In mockumentaries, nothing is trustworthy. Because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the truth from the fabricated. In order to disclose the lies that are weaved in, it is inevitable to cast doubts on the undisputed daily conditions such as time, space and systems. Therefore the narrative of a mockumentary flows naturally like a drama or a reportage, but in fact, it testifies nothing as well as accusing nothing. Demonstrating neither truth nor fiction, his narratives of conflicts cannot enter the clear logic, and therefore the residues of the controversy remain within the viewers as ambiguous deja-vus of the anxieties.


Shin’s previous works such as ‘Singing the Begonia (2016)’ and ‘Song written by Ok-ryu che (2013)’ have already proved his proficient manner in showing how a form can invert its content. And he also embedded these twists within the layers of his videos. Shin appropriates the stylistic features of documentaries and reportages to make us be over-conscious of our day-to-day realities, and then he puts these authoritative styles in the frame of a mockumentary to dilute their sincerity. He tells not-so-serious stories using very serious voices, to make not-really-serious accusations; and then again he presents his work in the form of a not-at-all-serious genre, to the world where everyone talks so seriously (the art world). However what he aims to become within his complex maze of twists is not a lone whistle-blower (the hero) of which status the previous generations had fought for. Rather, he proposes that we suspend judging instead of resolving and closing the cases.


While the authoritative aesthetics that he appropriated structure the narratives, the clumsy CGs and the B-grade references periodically appear and damage the credibility of the messages. In this term, his works are somewhat like the low-budget mockumentaries filling up the unpopular cable TVs in the idle hours, or the fake documentaries overflowing Youtube; rather than Blair Witch which requires the viewers’ ceaseless immersion. So, this might be his final twist. The repeated reversals between the form and the message eventually confuse 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narratives and soon transform the reality itself into a potential conspiracy theory stuck in between the truth and the fiction. There is no more certainty. And we get to doubt if everything (perhaps even the Art itself) is just one very long lie.


In his exhibition Re-wind, he talks about a time (our time) and its reverse side (the time of the national security) that have been actually coexisting. Apparently, some of the spies' time cannot be co-registered with the time of our peaceful reality. Like the side B of an analog tape remaining silent while we play the side A; the two times are there together, but the two cannot be simultaneously represented because they exist as the contradicting conditions to each other. And this is the primary condition for sustaining the illusion called 'the everyday reality.' The stories told in Shin's works in Re-wind, of the spies who had been sent to the North and the young military men who had got into the states of coma while serving the military, are actually quite familiar to us but we (our time) have never adequately talked about them: these remain as obscure tales. It is not because they have been skillfully hiding, but instead because we have been pretending to be blind to them. Or, maybe we have not recognized them from the beginning as they, like the Invisible Man, lived a different time while existing in the same time with us.


Shin reconstructs this obscure time, which could not have been represented within our inner time, by collecting the alibis and clues from the marginalized testimonies of the witnesses. And like the sketchy stories told by the B-grade media, his simulations adeptly combine different genres and settle within a style. By the end of the stories in his videos, the artist places the other time on ours, as if trying to leave a mark that they lived a different time while simultaneously sharing our time. Like one very long lie.

 

Translated by Jinho Lim